국민은행 장정맥 생체 인증, '금융결제원-우리' 측엔 누락
우리은행 ATM 기기에서 민영 은행 국내 1위 자산 규모를 자랑하는 KB국민은행과 연계가 끊어져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해당 메뉴는 바로 최근 보안이 급강화되면서 '식지않는 감자'라고 할 수 있는 생제보안인증이다 .이 바이오인증으로 금융기관은 고객의 생체정보를 등록하게 되는데, 관련 공공기관은 금융결제원이다. 이상케도 우리은행 ATM 바이오인증 항목에는 KB국민은행이 누락됐다. 양측 모두 삼성페이는 가능했다. 왜 국내 대표격인 두 은행 간 이런 일이? 기자는 우리은행 관계자와 통화해 본 결과,
그는 "국민은행 쪽이 금융결제원에 호환 등록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라고 답했다.
국민 측에서 공기관에 생체정보를 등록하지 않았다는 말로 들렸기에 말이 되지 않았고, 다시 국민 측에 연락해 보니.
국민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 측은 지문을 사용하나 봅니다. 저희는 손바닥을 통해 장정맥을 인증합니다. 생체등록 방식 차이일겁니다"라고 했다.
우리 측은 "우리 역시 장정맥을 사용한다, 정확한 내용은 담당자를 통해야 한다"고 되받았다.
다시 우리은행 측을 통해 연결된 금융결제원 담당자는 "장정맥 정보를 저희 쪽이 국민은행과 분산 보관을 하고 있는 건 맞습니다. 근데 호환 인증을 허용하고 등의 여부는 사실 조금 더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서.... 타 기관에서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고, 각 은행에서의 수요와 공급이 맞아야 가능한 부분이거든요. 해당 담당이 '금융서버'부분입니다"라고 설명하면서 다시 자세한 설명을 미뤘다.
취재는 여기까지. 기자의 판단으로, 우리은행은 공공 성격이 짙은 금융기관이고, 국민은행은 100% 민영이다. atm 메뉴도 살펴보면, 바이오인증 관련 우리은행 기기에서만 농・수협과 지방은행(대구) 등을 비롯 각 은행 정보를 수렴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금결원'이 중앙 역할을 하는 그림이라면, 국민은행이 가진 고객정보를 왜 호환하지 않았을까?. 결제원 담당자의 말을 근거로 하면, 고객 정보를 분산 보관하고 있다 했다. 그렇다면, 아마도 양 측간의 국민 생체 정보를 놓고 서로 통용하려 하지 않기 때문은 아닐까 싶다. 양 측이 수집한 정보를 놓고, 관영과 민영간 협조가 원활하지 않다고 밖에 본 기자는 해석할 수가 없다.
댓글